본문 바로가기

Javascript

(23)
22. 재귀함수 재귀함수 쉽게 말하면 함수 내부에서 자기 자신의 함수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다. 반복이 끝나는 브레이크가 있어야 한다. 문제와 함께 재귀 함수를 알아보자 ! 몇몇개의 수학공식 관련 재귀 함수는 외워 두는게 좋은거 같다.... >_
21. 함수메소드(apply, call, bind) 함수 메소드 3가지를 알기 전에 용어 정리 먼저 하고 갑시다 ! function Car (barnd, name, color){ //Car은 class 이다. this.brand = brand; //this는 this객체이며 여기서는 avante를 나타냄 this.name = name; this.color = color; } Car.prototype.drive = function(){// 속성, 메소드 정의 console.log(this.name + '가 운전을 합니다.'); } let avante = new Car('hyundai','avante','black'); // avante는 인스턴스 이다. 1. apply() 주어진 this 값과 배열 로 제공되는 arguments로 함수를 호출한다. func..
21. 타이머 API 1. setTimeout 일정 시간 후에 함수를 실행한다. setTimeout(callback, millisecond) 실행할 함수 callback 을 millisecond후에 실행한다. setTimeout(function(){ console.log('1초후실행') },1000) 2. setInteval 일정 시간의 간격을 가지고 함수를 반복적으로 실행 setInterval(callback, millisecond) millosecond마다 callback 함수를 실행한다. setInterval(function(){ console.log('1초마다 반복 실행') },1000) 3. clearInterval 반복 실행중인 타이머를 종료 한다. clearInterval(timerId) let timer = s..
20. 동기 호출 VS 비동기 호출 동기호출 : 즉시 실행 비동기 호출 : 나중에 실행 예를 들면 전화는 하던일을 멈추고 받아야함 (bloking) 요청에 대한 결과를 동시에 반응 한다. (synchronous) 동기를 뜻한다. 반면, 문자는 확인후 나중에 답장을 해도된다. 비동기이다. 동기 : 요청에 대한 결과가 동시에 일어난다. 비동기 : 요청에 대한 결과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고 요청을 한번데 다받고 이벤트가 준비 되었을 때 응답을 나중에 이루어짐 1. 동기호출 순차 적으로 함수를 실행한다. 2. 비동기 호출 setTimeout 함수를 이용하여 callback 함수는 나중에 실행한다. ** 비동기 함수 전달 패턴 ** 1. callback 패턴 let request = 'caffelatte'; orderCoffeeAsync(reques..
19. spread연산자 vs arguments spread연산자 vs arguments 의 대해 알아보자 ! 요즘은 argument 보다 스프레드 연사자(...arr)을 쓰는 추세이다. 먼저 두개를 비교하기 전에 용어를 파악하고 가자 1. 파라미터 VS 아규먼트 아규미터(argument)란 함수를 실행할때 넣는값이다. 파라미터 (parameter)란 함수에서 받을 수 있는 변수 이다. function add(val1,val2){//val1과 val2가 파라미터이다. reutn val1 + val2 ; } add(1,2)//여기서 1,2가 아규먼트 이다. 2. arguments(아규먼트에 s가 붙음!) 파라미터는 2개인데 아규먼트 3개이상 하고 싶은 때 함수 내부에서 arguments사용 할 수 있다. 유사배열 형태로 참조하는 값이다. let arr ..
18. 배열 내장메소드 총정리 배열 내장 함수를 알아두자 ! 1. forEach 배열을 반복하는 함수이다. for문을 간단하게 사용하는 느낌쓰 let a = [1,2,3,4,5]; for(let i=0;i
17. 내장고차함수 내장고차함수 란? 자바스크립트에는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고차 함수들이 있습니다. 바로 배열 메소드들중 일부가 고차함수에 해당합니다. 1. filter 이 메소드는 이름 그래도 요소들을 걸러내는 것이 목적이다. return 값이 true인 요소들만 모아서 새로운 배열을 만든다. return을 생략하면 undefined이므로 false를 반환한다. 만약 만족하는 요소가 하나도 없다면 빈배열을 반환한다. let arr = [1, 2, 3, 4]; let output = arr.filter(짝수); console.log(output); // ->> [2, 4] let arr = [1, 5, 9, 4]; let output = arr.filter(짝수); console.log(output); // ->> []..
16. 고차함수 함수 -변수에 할달 할 수있다. -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 될 수 있다. -다른 함수의 결과로서 리턴 될 수 있다. 고차함수란 ? 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를 말한다. 콜백함수란? 다른함수의 인자로 전달되는 함수 이다. 1. 다른함수를 인자로 받는 경우 function double(num){//콜백함수 return num * 2; } function doubleNum(func, num){ //고차함수 let doubledArr = []; return func(num); } doubleNum(double,4); // 함수 호출 2. 함수를 리턴하는 경우 function adder(added) { //고차함수 (익명의 함수를 사용중) return function (num) {//익명의 함수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