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avascript

6. 배열

배열 : 순서가 있는 값


let myNumber = [73,93,86,61,96];  //각각의 원소는 쉼표로 구분 

1. 요소 : element = 값 

2. 순서 : index  // 1이 아닌 0 부터 번호를 매김 

let myNumber = [73,93,86,61,96];

--- myNumber의 인덱스 3은 61이다. // myNumber[3]  -> 61

let mynumber = [[1,2],[3,4],[5,6]];  //이중배열

--- 1번째 인덱스 값은 [3,4] -> myNumber[1]

---1번째의 0번째 인덱스 값은 3 ->mynumber[1][0]

3. 값변경  

let myNumber = [73,98,86,61,96];

myNumber[3] = 200;  //인덱스3 자리 값을 200으로 변경 

myNumber = [73,98,86,200,96]

4. 배열의 길이

let myNumber = [73,98,86,61]

Mynumber.length ;  //. 4

5.배열의 요소 추가

Let myNumber = [73,98,86,61];

Mynumber.push(96);  -> myNumber = [73,98,86,61,96] //맨뒤에 96 추가

Mynumber.unshift(100) ->myNumber = [100,73,98,86,61,96]  // 앞쪽에 100 추가 

6. 배열의 요소 삭제

let myNumber = [73,98,86,61]

myNumber.pop(); //배열의 마지막 삭제  ->myNumber = [73,98,86]

myNumber.shift() ->첫번째 값이 빠져 나온다 배열에선 삭제 // myNumber =[ 98,86,61]  맨앞값이 삭제

7. 타입이 배열인지 확인 하기

Array.isArray(‘문자열’) //‘false’

Array.isArray(123) //‘false’

Array.isArray([1,2,3]) //‘true’

Array.isArray([ ])//‘true’

8. 배열에서  특정 값이 있는지 확인하기 

let word = [‘피’, ‘땀’,’눈물’];

Word.indexOf(‘피’)  //0 배열의값이 있으면 인덱스를 출력 (대소문자 구분 잘해줘야함)

Word.indexOf(‘땀’)  //1 

Word.indexOf(‘손’) // -1 배열의 값이 없는거 검색 하면 -1 출력  

Word.indexOf(‘’) !== -1 //배열에 찾고자 하는 값이 있는지 없는지 사용하는 이프문 

9. 배열의 반복문 

-배열출력

let myNum = [73,98,86,61];

for(let n =0; n < myNum.length; n++){
	myNum[n];
}

-배열합계

myNum=[10,20,40,10];

let sum =0;
for(let n =0; n < myNum.length; n++){
	sum = sum + myNum[n];
}

 
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8. scope  (0) 2020.09.15
7.객체  (0) 2020.09.12
5.반복문  (0) 2020.09.10
4. 문자열  (0) 2020.09.09
3. 조건문  (0) 2020.09.09